들어가며
작년 11월에 썼던 글에서 (https://thehardthing.tistory.com/10) AI 관련 상장 기업들의 실적을 분석해 보았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3분기 누적 매출 60억 이내로 뛰어난 실적을 보여주진 못했지만, 의료AI 기업 '루닛'은 3분기 누적 매출 99억으로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었다. 상장 후 2만원 가량으로 떨어졌던 주식도 1월 13일 종가 기준 32,300원으로 상승 중이고, 시가 총액도 4,000억원 수준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글에서는 2022년 3분기 분기보고서에 기반하여 의료 AI 기업 '루닛'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주 분석 내용은 루닛의 주요 제품군과 이 제품을 이용하여 어떻게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는지이다. 또한, 루닛이 다른 AI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앞서나갈 수 있는 차별성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제품군: Lunit INSIGHT와 Lunit SCOPE
분기보고서를 보면 제품군은 크게 Lunit INSIGHT와 LUNIT SCOPE로 나뉜다. Lunit INSIGHT는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이며, Lunit INSIGHT CXR과 Lunit INSIGHT MMG로 나뉜다. CXR은 흉부엑스레이 영상에서 흉부 이상소견을 검출하는 제품이고, MMG는 유방촬영술 영상에서 유방암 의심분위 및 유방치밀도 분류를 수행하는 제품이다. Lunit SCOPE는 항암제 치료 결정 솔루션으로 조직병리 슬라이드 판독을 보조하거나, 새로운 이미징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제품이다. (의료 지식이 부족하여 Lunit SCOPE가 어떤 의료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매출 상세 분석
가장 궁금한 매출이다. 분기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방식으로 매출 상세 내용을 분석해 주었다. 제품별 상세 매출 내용 및 수출/내수 현황을 분석한 내용이 있고, 고객사별 매출 비율이 있다. 먼저 아래 표는 제품별 매출실적 및 수출/내수 (단위: 천원) 현황이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전체 매출 99억 중 수출이 무려 87억을 차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분석을 하면 Lunit INSIGHT의 제품 및 서비스 매출이 59억, Lunit SCOPE의 제품 및 서비스 매출이 39억 가량이다. 참고로 Lunit SCOPE는 수출 매출 실적만 있다. (서비스 매출은 아마도 용역성 업무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제품과 서비스의 명확한 구분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아래 표는 루닛의 상세 제품별 매출 현황 (단위: 백만원) 을 보여준다. Lunit INSIGHT CXR이 47억, MMG가 12억, LUNIT SCOPE가 39억을 기록하고 있다. 한가지 재밌는 것은 위 수출 및 내수 매출 현황 표와 아래 제품 상세 매출 현황 표를 함께 분석해서 유추할 수 있는 제품별 수출/내수 집중 현상이다. CXR의 매출은 정확히 47.22억원이다. 그런데, 위 표에서 Lunit INSIGHT의 제품 수출과 서비스 수출을 합해도 47.3억 정도가 나온다. 즉. CXR은 수출로만 47억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MMG는 내수로만 12억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Lunit SCOPE는 원래 수출 실적만 존재하므로 Lunit INSIGHT CXR, Lunit SCOPE는 수출, Lunit INSIGHT MMG는 내수에서 모든 매출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의료는 규제 산업인 만큼 규제와 관련된 내용도 실적보고서에 나오는데 CXR도 국내 인허가를 받았다고 나와 이런 식의 편향된 실적이 나온 이유가 궁금해졌다. (혹은 숫자가 우연히 일치한 결과일지...)
다음은 주요 고객사에 대한 매출 정보이다. 아래와 같이 전체 매출액 99억의 90%에 가까운 89억 정도가 3개의 업체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아래 표에는 정확하게 각 업체가 어딘지는 나오지 않았지만, 실적보고서의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을 통해 A사는 FUJIFILM, B사는 Guardant Health임을 추측할 수 있다. 두 회사는 루닛에 투자한 업체이기도 한데, 이를 통해 SI (Strategic Investor)로 투자를 한 업체들로부터 많은 매출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루닛의 차별성
루닛이 이와 같이 좋은 제품/서비스를 만들고 좋은 실적을 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 당연하게도 훌륭한 경영진과 연구개발 및 영업, 마케팅 등의 인력 등이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는 다른 회사도 마찬가지일 것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원인을 찾아보면, 첫번째는 다양한 기관과의 활발한 협력을 꼽고 싶다. 특히, AI는 풍부한 데이터가 생명인데, 루닛은 스타트업인만큼 많은 데이터를 스스로 구축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국내 병원 및 글로벌 의료 업체와 협력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FUJIFILM과 Guardant Health는 투자자일 뿐만 아니라 루닛의 가장 큰 고객으로서도 초기 성장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는 풍부한 의료 도메인 관련 전문성이 아닐까 싶다. 많은 경우 AI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AI기술 뿐만 아니라 도메인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루닛은 내부에 full-time으로 근무하는 의료 인력이 12명에 달한다고 한다. 해당 인력들이 AI 연구자와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AI 모델 고도화를 수행한다고 하니, 뛰어난 기술이 개발되기 매우 좋은 환경일 것으로 생각된다.
마치며
루닛의 분기보고서와 IR자료를 보면, 연구 역량 측면에서는 정말 훌륭한 기업임을 알 수 있다. AI 및 의료 관련 저명 학회 및 저널에 논문도 많이 출판했으며 등록 특허만도 76건에 달한다.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도 'AA-AA'등급을 받았으며, 이는 헬스케어 기업 중 최초라고 한다. 주위에서 들어보면 루닛의 연구역량은 전세계적으로도 손 꼽히는 수준이라고 한다. 다만, 소수의 SI에 지나치게 편중된 매출이 분기보고서 상에서 봤을 때 옥에 티로 보인다. 비즈니스 모델상 초기에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것으로도 보이나 루닛 내부에서도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 관련 AI기업들이 타 AI 회사들 대비 업력도 상대적으로 길고, 상장된 업체도 많이 있다. 이런 기업들이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다른 분야 AI기업들에게도 좋은 선례가 되었으면 한다.
'인더스트리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로봇 상장 기업의 2024년 성적표는? (0) | 2025.03.28 |
---|---|
산업 인공지능(Industrial AI) 스타트업 현황과 향후 전망 (0) | 2023.04.03 |
AI 관련 특례상장기업의 현재 성적표는? (0) | 2022.11.27 |
경기침체가 VC·PE에 미치는 영향 (3) | 2022.09.12 |
왓챠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 2022.08.14 |